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3

[백준 11060번] 점프 점프 문제출처:https://www.acmicpc.net/problem/11060  백준 11060번 문제는 "점프 점프"라는 문제로, 주어진 배열에서 최단 거리를 이동하여 마지막 칸에 도달하는 방법을 찾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적 프로그래밍(DP) 접근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아래에 문제 풀이 과정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문제 이해주어진 배열에서 각 원소는 그 위치에서 최대 몇 칸을 점프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목표는 첫 번째 칸에서 시작하여 마지막 칸에 도달하는 최소 점프 횟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입력 및 출력 형식입력: 첫 줄에 배열의 크기 N이 주어지고, 두 번째 줄에 N개의 정수가 주어집니다.출력: 마지막 칸에 도달하기 위한 최소 점프 횟수를 출력합니다. 만약 도달할 .. 2024. 6. 4.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는 두 가지 중요한 척도입니다. 시간복잡도 (Time Complexity)시간복잡도는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입력 크기와의 관계로 표현한 것입니다. 보통 Big-O 표기법으로 나타내며, 가장 자주 사용되는 표기법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O(1): 입력 크기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이 걸리는 경우입니다. 예: 배열의 첫 번째 요소에 접근하는 경우.O(n): 입력 크기에 비례해서 시간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예: 배열의 모든 요소를 한 번씩 방문하는 경우.O(n^2): 입력 크기의 제곱에 비례해서 시간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예: 이중 루프를 사용하는 경우.O(log n): 입력 크기의 로그에 비례해서 시간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예:.. 2024. 6. 1.
STORIFY (0224) - 발표, 또 다른 정글 [크래프톤 정글] 오늘은 협력사에서 오신 분들 앞에 발표와 서비스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날카로운 질문도 있었고 gpt 프롬프팅에 대한 질문, 서비스에 대한 질문도 있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앞으로 서비스를 계속 운영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 물어보셨고 앞으로도 사이드 프로젝트로 계속 가져갔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많이 주셨다. 발표가 끝난 후 팀원들, 동료들, 코치님들과 식사자리에서 많은 이야기도 나눴다. 지난 5개월의 시간이 조금 떠오르는 시간들이었다. 5개월 동안 나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서비스 서버를 만들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했다. 지난 5개월 동안 많은 것들을 배우며 포기하지 않고 배우려고 했던 나 자신에게 칭찬을 해주고 싶은 생각이 문뜩 들어 칭찬해 주었다.ㅎㅎ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0주차 첫 3일.. 2024. 2. 24.
STORIFY (0220) - 소켓 시간 설정, 메모리 관리 문제:소켓 연결은 되었지만 어디선가 계속 handleDisconnect를 호출해 연결이 끊겼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1.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문제 :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일시적으로 끊어졌을 때, 웹소켓 연결도 함께 끊어질 수 있다.  2. 서버의 네트워크 문제 : 서버 측의 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겼을 때도 웹소켓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3. 서버나 클라이언트의 자원 부족 : 서버나 클라이언트의 메모리 등의 자원이 부족하면, 웹소켓 연결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지 못해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4. 서버의 설정 문제 : 서버에서 웹소켓 연결을 일정 시간동안 유지한 후 자동으로 끊는 설정이 있을 수 있다.   5. .. 2024. 2.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