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탄탄/Python

[ CodeSignal ] 재귀를 이용한 팩토리얼 계산: 메모이제이션

by Peter.JH 2024. 10. 8.
728x90
반응형

 

재귀는 복잡한 문제를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코드로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프로그래밍 기법입니다. 그러나 때로는 재귀 호출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성능 저하나 스택 오버플로우와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재귀를 사용하여 리스트의 각 정수에 대한 팩토리얼을 계산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을 통해 어떻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팩토리얼이란?

팩토리얼은 수학에서 자연수의 곱을 의미하며, 기호 n!로 표기합니다.

  • 정의:
    • n ! = n × ( n 1 ) × ( n 2 ) × × 1
    • ( 0 ! = 1 ) (예외적으로 0의 팩토리얼은 1로 정의됩니다.)

예를 들어:

  • 3 ! = 3 × 2 × 1 = 6
  • 5 ! = 5 × 4 × 3 × 2 × 1 = 120

 

 

코드 시그널 문제 

 

https://learn.codesignal.com/course/11/unit/1/practice/3

 

CodeSignal Learn

Build skills top companies are hiring for. Advance your career with Cosmo, the AI tutor and guide who meets you where you are and adapts to your unique skills journey.

learn.codesignal.com

 

 

양의 정수로 이루어진 리스트가 주어졌을 때, 각 정수의 팩토리얼을 계산하여 새로운 리스트로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고자 합니다.

  • 입력: [2, 3, 4]
  • 출력: [2, 6, 24]

또한, 입력 리스트에는 음수나 0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음수의 팩토리얼은 정의되지 않으므로 'Error'를 반환해야 합니다.

1. 재귀를 이용한 구현

 

우선, 가장 직관적인 방법으로 재귀를 사용하여 팩토리얼을 계산하는 함수를 작성해보겠습니다.

def factorial(num):
    if num < 0:
        return 'Error'
    elif num == 0 or num == 1:
        return 1
    else:
        return num * factorial(num - 1)
  • 음수 처리: 입력된 숫자가 음수인 경우 'Error'를 반환합니다.
  • 기저 조건: num이 0 또는 1이면 1을 반환합니다.
  • 재귀 호출: 그 외의 경우 num * factorial(num - 1)을 계산합니다.

 

사용 예시

def factorials(nums):
    return [factorial(num) for num in nums]

print(factorials([2, 3, 4]))  # 출력: [2, 6, 24]
print(factorials([1, 5, 6]))  # 출력: [1, 120, 720]
print(factorials([0, -3, 10]))  # 출력: [1, 'Error', 3628800]

 

 

이렇게 작성한 함수는 작은 숫자에 대해서는 잘 동작하지만, 입력 값이 커지거나 동일한 숫자가 여러 번 등장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재귀 호출의 과도한 증가

예를 들어, factorial(5)를 계산하려면 다음과 같은 호출이 발생합니다.

  • factorial(5)5 * factorial(4)를 호출
  • factorial(4)4 * factorial(3)을 호출
  • ...
  • factorial(1)은 1을 반환

즉, factorial(5)를 계산하기 위해 총 5번의 재귀 호출이 발생합니다.

 

 

중복 계산의 발생

입력 리스트에 동일한 숫자가 여러 개 있는 경우, 동일한 계산을 반복하게 됩니다.

nums = [5, 3, 5, 3, 5]
result = factorials(nums)

 

이 경우 factorial(5)factorial(3)이 각각 3번, 2번씩 계산됩니다. 따라서 성능 저하와 스택 오버플로우 위험이 있습니다. 입력 값이 매우 큰 경우 재귀 호출의 깊이가 깊어져 스택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됩니다.

 

위에서 살펴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메모이제이션이란?

메모이제이션은 이미 계산한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동일한 입력이 들어왔을 때 저장된 결과를 재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중복 계산을 방지하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메모이제이션을 적용한 코드

memo = {0: 1, 1: 1}

def factorial(num):
    if num < 0:
        return 'Error'
    if num in memo:
        return memo[num]
    memo[num] = num * factorial(num - 1)
    return memo[num]
  • 메모리 초기화: {0: 1, 1: 1}로 초기값을 설정합니다.
  • 음수 처리: 입력된 숫자가 음수인 경우 'Error'를 반환합니다.
  • 메모이제이션 체크: nummemo에 있으면 저장된 값을 반환합니다.
  • 값 계산 및 저장: memo[num] = num * factorial(num - 1)로 계산 결과를 저장합니다.
  • 결과 반환: 계산된 값을 반환합니다.

 

사용 예시

def factorials(nums):
    return [factorial(num) for num in nums]

print(factorials([2, 3, 4]))  # 출력: [2, 6, 24]
print(factorials([1, 5, 6]))  # 출력: [1, 120, 720]
print(factorials([0, -3, 10]))  # 출력: [1, 'Error', 3628800]

 

 

메모이제이션의 효과!

 

1. 중복 계산 방지

이제 동일한 숫자에 대한 팩토리얼 계산이 한 번만 이루어집니다. 이전의 예시를 다시 살펴보면:

nums = [5, 3, 5, 3, 5]
result = factorials(nums)
  • factorial(5)factorial(3)은 각각 한 번씩만 계산되고, 이후에는 memo에 저장된 값을 사용합니다.

 

2. 성능 향상

  • 시간 복잡도 감소: 중복 계산이 사라지므로 전체 계산 시간이 크게 단축됩니다.
  • 재귀 호출 깊이 감소: 이미 계산된 값은 재귀 호출 없이 바로 반환되므로, 스택 오버플로우의 위험이 감소합니다.

 

메모이제이션과 메모리 사용량의 균형

메모이제이션은 성능 향상에 큰 도움을 주지만,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메모이제이션의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 메모리 여유가 충분한 경우: 메모리를 충분히 활용하여 성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입력 데이터에 중복된 값이 많은 경우: 중복 계산이 많을수록 메모이제이션의 효과가 커집니다.
  • 큰 입력 값이 있는 경우: 재귀 호출의 깊이를 줄여 스택 오버플로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메모리 제한이 엄격하고 중복 계산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메모이제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

 

 

 

성능 비교: 

 

파이썬의 timeit 모듈을 사용하여 메모이제이션 사용 여부에 따른 성능 차이를 측정해보겠습니다.

 

테스트 코드

import timeit

setup_code = '''
def factorial_no_memo(num):
    if num < 0:
        return 'Error'
    elif num == 0 or num == 1:
        return 1
    else:
        return num * factorial_no_memo(num - 1)

def factorial_with_memo(num):
    if num < 0:
        return 'Error'
    if num in memo:
        return memo[num]
    memo[num] = num * factorial_with_memo(num - 1)
    return memo[num]

nums = [5, 3, 5, 3, 5]
'''

# 메모이제이션 미사용 시간 측정
no_memo_time = timeit.timeit('''
[factorial_no_memo(num) for num in nums]
''', setup=setup_code, number=10000)

# 메모이제이션 사용 시간 측정
with_memo_time = timeit.timeit('''
memo = {0: 1, 1: 1}
[factorial_with_memo(num) for num in nums]
''', setup=setup_code, number=10000)

print(f'메모이제이션 미사용 시간: {no_memo_time}')
print(f'메모이제이션 사용 시간: {with_memo_time}')

 

결과 

메모이제이션 미사용 시간: 0.011745300143957138
메모이제이션 사용 시간: 0.008576199878007174

 

메모이제이션을 사용한 경우 실행 시간이 약 27% 정도 단축되었습니다.

 

 

  1. 메모이제이션의 효과
    •  중복 계산 방지: 입력 리스트 nums에는 숫자 5와 3이 반복됩니다. 메모이제이션을 사용하면 처음 계산한 5!와 3!의 값을 memo에 저장하고, 이후 동일한 숫자가 등장할 때 저장된 값을 바로 반환합니다.
    •  재귀 호출 감소: 메모이제이션을 통해 이미 계산된 부분 문제를 재사용하므로, 재귀 호출의 깊이가 줄어듭니다.
    •  실행 시간 단축: 중복 계산이 줄어들고, 재귀 호출 횟수가 감소하므로 전체 실행 시간이 단축됩니다.
  2. 입력 데이터의 영향
    •  중복된 값의 존재: 리스트에 중복된 숫자가 많을수록 메모이제이션의 효과가 커집니다. 이번 테스트에서는 5와 3이 여러 번 등장하여 메모이제이션의 장점이 두드러집니다.
    •  숫자의 크기: 계산해야 할 숫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메모이제이션의 효과가 더욱 커집니다. 큰 숫자의 팩토리얼은 재귀 호출이 깊어지기 때문에, 메모이제이션을 통해 재귀 깊이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메모리 사용량
    •  메모이제이션을 사용하면 계산된 결과를 저장하기 위해 추가적인 메모리가 필요합니다.
    •  그러나 테스트에서 사용하는 숫자들이 작고, 저장되는 값의 개수가 적어 메모리 사용량은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결론

 

재귀를 이용한 팩토리얼 계산에서 메모이제이션은 성능 향상을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 메모이제이션의 장점:
    • 중복 계산 방지로 인한 속도 향상
    • 재귀 호출 깊이 감소로 인한 스택 오버플로우 방지
  • 메모이제이션의 단점:
    • 추가적인 메모리 사용

문제의 특성과 요구 사항에 따라 메모이제이션의 사용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번 글을 통해 재귀 함수에서 메모이제이션을 적용하는 방법과 그 효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ㅎㅎ

 

 

 

 

 

.

.

.

.

전체 코드 정리

# 메모이제이션 미사용
def factorial_no_memo(num):
    if num < 0:
        return 'Error'
    elif num == 0 or num == 1:
        return 1
    else:
        return num * factorial_no_memo(num - 1)

# 메모이제이션 사용
memo = {0: 1, 1: 1}

def factorial_with_memo(num):
    if num < 0:
        return 'Error'
    if num in memo:
        return memo[num]
    memo[num] = num * factorial_with_memo(num - 1)
    return memo[num]

def factorials(nums, use_memo=False):
    if use_memo:
        return [factorial_with_memo(num) for num in nums]
    else:
        return [factorial_no_memo(num) for num in nums]

# 사용 예시
print(factorials([2, 3, 4], use_memo=False))  # 출력: [2, 6, 24]
print(factorials([2, 3, 4], use_memo=True))   # 출력: [2, 6, 24]

 

728x90
반응형

'기초탄탄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programmers] 간단한 논리 연산  (0) 2023.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