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일지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

by Peter.JH 2024. 6. 1.
728x90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는 두 가지 중요한 척도입니다. 

시간복잡도 (Time Complexity)

시간복잡도는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입력 크기와의 관계로 표현한 것입니다. 보통 Big-O 표기법으로 나타내며, 가장 자주 사용되는 표기법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O(1): 입력 크기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이 걸리는 경우입니다. 예: 배열의 첫 번째 요소에 접근하는 경우.
  2. O(n): 입력 크기에 비례해서 시간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예: 배열의 모든 요소를 한 번씩 방문하는 경우.
  3. O(n^2): 입력 크기의 제곱에 비례해서 시간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예: 이중 루프를 사용하는 경우.
  4. O(log n): 입력 크기의 로그에 비례해서 시간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예: 이진 탐색.
  5. O(n log n): 정렬 알고리즘 중 많이 사용됩니다. 예: 퀵 정렬, 병합 정렬.

 

공간복잡도 (Space Complexity)

공간복잡도는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동안 필요한 메모리 공간의 양을 입력 크기와의 관계로 표현한 것입니다. 역시 Big-O 표기법으로 나타냅니다:

  1. O(1): 입력 크기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예: 몇 개의 변수만 사용하는 경우.
  2. O(n): 입력 크기에 비례해서 메모리 공간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예: 배열에 입력을 저장하는 경우.
  3. O(n^2): 입력 크기의 제곱에 비례해서 메모리 공간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예: 2차원 배열을 사용하는 경우.

 

예시

시간복잡도 예시

def find_max(arr):
    max_val = arr[0]
    for num in arr:
        if num > max_val:
            max_val = num
    return max_val

이 함수는 배열을 한 번 순회하기 때문에 시간복잡도는 O(n)입니다.

공간복잡도 예시

def create_matrix(n):
    matrix = [[0] * n for _ in range(n)]
    return matrix

이 함수는 n x n 크기의 2차원 배열을 생성하기 때문에 공간복잡도는 O(n^2)입니다.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는 서로 관계가 있을까요?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는 때때로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특정 알고리즘이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면 시간이 더 적게 걸릴 수 있고, 반대로 메모리를 절약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공간-시간 트레이드오프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ming)은 메모리를 더 많이 사용하여 중복 계산을 피하므로 시간을 절약합니다.

 

 

시간복잡도에서 말하는 시간은 어떤 시간을 의미할까요?

 

시간복잡도에서 말하는 시간은 실제 실행 시간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는 주어진 입력 크기(n)에 따라 알고리즘의 실행 시간이 어떻게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실제 시간은 시스템 성능, 구현 방식, 입력 데이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시간복잡도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상대적인 기준입니다.

 

 

공간복잡도에서 말하는 공간은 output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간을 얘기하는 걸까요?

 

공간복잡도에서 말하는 공간은 주로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동안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변수, 데이터 구조, 함수 호출 스택 등이 포함됩니다. 출력 공간도 포함될 수 있지만, 보통 입력 크기와 비례하는 추가 메모리 사용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메모리에 대한 글입니다.

2023.12.14 - [개발일지] - pintos - Virtual Memory(1)

 

 

시간, 공간 복잡도를 쉽게 구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1. 반복문: 중첩된 반복문의 개수를 세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단일 반복문: O(n)
    •   이중 반복문: O(n^2)
    •   삼중 반복문: O(n^3)
  2. 재귀: 재귀 함수의 호출 패턴을 분석합니다.
    •   단순 재귀: O(n)
    •   이진 재귀: O(2^n)
  3. 데이터 구조:
    •   배열 접근: O(1)
    •   배열 순회: O(n)
    •   해시맵 접근: O(1) (이론상)
  4. 재귀 트리:
    •   각 노드의 서브트리 호출 수를 분석합니다.

예시: 반복문의 시간복잡도 분석

def example_function(arr):
    for i in range(len(arr)):  # O(n)
        for j in range(len(arr)):  # O(n)
            print(arr[i], arr[j])  # O(1)

위 코드의 시간복잡도는 O(n) * O(n) = O(n^2)입니다.

예시: 재귀 함수의 시간복잡도 분석

def fibonacci(n):
    if n <= 1:
        return n
    return fibonacci(n-1) + fibonacci(n-2)

위 코드의 시간복잡도는 O(2^n)입니다.

 

 

그렇다면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의 트레이드오프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1. 데이터베이스 인덱싱

  • 시간복잡도: 인덱스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 쿼리의 검색 속도를 O(log n)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 공간복잡도: 그러나 인덱스는 추가적인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합니다. 많은 인덱스를 생성하면 저장 공간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 트레이드오프: 빠른 검색 속도를 위해 인덱스를 많이 사용하면 저장 공간이 증가하고, 반대로 저장 공간을 절약하려면 검색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2. 웹 애플리케이션 캐싱

  • 시간복잡도: 캐싱을 통해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면 응답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 공간복잡도: 그러나 캐시는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므로, 캐시 크기가 커질수록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합니다.
  • 트레이드오프: 빠른 응답 속도를 위해 큰 캐시를 사용하면 메모리 자원이 많이 소모되고,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캐시 크기를 줄이면 응답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3. 그래프 알고리즘

  • 시간복잡도: 예를 들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단 경로를 찾을 때, 우선순위 큐를 사용하면 시간복잡도를 O(E + V log V)로 줄일 수 있습니다.
  • 공간복잡도: 우선순위 큐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면 추가적인 메모리 공간이 필요합니다.
  • 트레이드오프: 더 빠른 계산을 위해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면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하고, 단순한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면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4. 이미지 및 비디오 처리

  • 시간복잡도: 이미지나 비디오 처리를 빠르게 하기 위해 더 많은 메모리를 할당하여 병렬 처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공간복잡도: 병렬 처리는 메모리와 하드웨어 자원을 많이 소모합니다.
  • 트레이드오프: 빠른 처리 속도를 위해 많은 자원을 사용하면 시스템 비용이 증가하고, 자원을 절약하면 처리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아직 경험이 많이 부족해 더 많은 사례가 생각나지는 않습니다. 위 내용 중에 수정이 필요하거나 시간, 공간복잡도와 관련된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공유해 주시면 좋겠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0) 2024.02.03
node 21 WSL 문제  (1) 2024.01.16
pintos를 마무리하며...[크래프톤 정글]  (0) 2023.12.30
node.js - 연습해보기  (0) 2023.12.29
pintos.........  (0) 2023.12.28